Contents
[톺아보기①] 위기의 건설산업, 무엇이 문제인가? (모듈러: From Projects to Products 맥킨지&컴퍼니)
언론사 뉴스
보고서 전문 보기|Modular construction: From projects to products - McKinsey&Company
|맥킨지 보고서 "모듈러 건축: From Project to Product" 톺아보기 ①
|위기의 건설산업, 무엇이 문제인가?
우리가 사는 집, 일하는 사무실, 아이들이 다니는 학교까지. 우리의 삶을 담는 공간을 만드는 건설 산업이 수십 년째 '성장통'을 앓고 있습니다. 화려한 도시의 스카이라인 뒤에 가려진 건설 산업의 현주소는 어떤 모습일까요? 혁신적인 '모듈러 건축'을 이야기하기에 앞서, 현재 건설 산업이 마주한 근본적인 문제점들에 대해 맥킨지 보고서에서 다룬 내용들을 먼저 짚어봅니다.
1. 4차 산업혁명 시대, 나 홀로 '거북이걸음'
다른 산업들이 디지털 전환과 자동화를 통해 비약적인 생산성 향상을 이뤄내는 동안, 건설 산업의 시계는 수십 년째 과거에 머물러 있습니다. 맥킨지 보고서에 따르면, 전 세계 건설 산업과 타 산업 간의 생산성 격차는 무려 1조 6천억 달러(약 2,200조 원)에 달합니다. 여전히 수많은 인력이 현장에서 직접 자재를 나르고 조립하는 노동집약적 방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결국 잦은 공사 기간 지연과 예측을 벗어나는 비용 상승으로 이어져 건축주와 사회 전체의 부담을 가중시키는 가장 큰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2. "사람이 없다"...숙련공은 사라지고 현장은 늙어간다
건설 현장의 또 다른 위기는 바로 '사람'의 문제입니다. 힘들고 위험하다는 인식 때문에 젊은 인력의 유입은 갈수록 줄고, 기존 인력은 빠르게 고령화되고 있습니다. 1985년 32%였던 45세 이상 건설 근로자 비율은 2010년 50%까지 치솟았으며, 이러한 추세는 지금도 계속되고 있습니다. 숙련된 기술자의 부족은 곧바로 시공 품질의 저하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정해진 기간 안에 건물을 완성해야 하는 압박 속에서 비숙련 인력에 의존하게 되면,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부터 부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커집니다.
3. 날씨와 안전, 통제 불가능한 리스크
모든 공정이 현장에서 이뤄지는 전통적인 건설 방식은 예측 불가능한 외풍에 너무나 취약합니다. 비나 눈, 혹한이나 폭염 같은 기상 변화는 공사를 중단시켜 공사 기간을 늘리고, 이는 고스란히 비용 부담으로 돌아옵니다. 또한, 수많은 인력과 장비, 자재가 뒤섞여 복잡하게 돌아가는 현장은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통제된 실내 환경에 비해 사고 발생률이 높을 수밖에 없으며, 이는 근로자의 안전을 위협하고 기업에는 막대한 손실을 안겨주는 악순환으로 이어집니다.
[상] 주택 수요와 건설 노동력의 상대적 비용
[하] 주요국의 OSC방식 주택 점유율
NRB's INSIGHT
이러한 건설 산업의 구조적 문제는 비단 해외만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대한민국 건설업 역시 심각한 인력난과 고령화, 고질적인 안전 문제, 그리고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원가 부담 심화라는 다중고를 겪고 있습니다. 특히 한정된 국토 안에서 효율적인 주택 공급과 도시 재생의 필요성은 날로 커지고 있지만, 전통적인 건설 방식만으로는 이러한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기 어려운 한계점에 다다랐습니다. (최근 기사: 매출·수익·안정성 '삼중 부진'…벼랑 끝 몰린 건설산업 - 경제 | 기사 - 더팩트)
이것이 엔알비(NRB)가 '공업화 건축(OSC: Off-Site Construction)', 즉 모듈러 공법에서 대한민국 건설 산업의 미래를 찾는 이유입니다. 저희는 건설의 패러다임을 '현장'에서 '공장'으로 옮겨야만 생산성과 품질, 안전성이라는 세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을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이미 한국토지주택공사(LH), 경기주택도시공사(GH)와 같은 공공 발주처는 이러한 혁신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모듈러 주택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저희 엔알비는 국내 최고층 모듈러 아파트 건설 실적과 기술력을 바탕으로 그 변화를 선도하고 있습니다. 다음 편에서는 이 문제들에 대한 구체적인 해답으로서 '모듈러 건축'이 무엇인지 본격적으로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 이전글 이전글이 없습니다.
- 다음글 국회 ‘모듈러건설 포럼’ 첫 발족(2025-09-17,대한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