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ents
레미콘의 복수, "재건축 큰일났습니다" (유튜브 언더스탠딩)
언론사 뉴스
레미콘의 복수 재건축 큰일났습니다 (출처: 유튜브 언더스탠딩)
💡건설 현장, '레미콘 공급 대란' 비상…자체 공장 설치 두고 갈등 고조
최근 재건축 현장에서 레미콘 공급 불안정성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르며 건설 업계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습니다. 주요 건설사와 레미콘 운송 노조 간의 갈등이 첨예하게 대립하면서, 향후 레미콘 공급 대란으로 인한 공사 차질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사례는 현대산업개발과 레미콘 운송 노조의 갈등입니다. 현대산업개발은 광운대역 복합 개발 사업 현장에 '배치 플랜트'라는 소규모 레미콘 공장을 직접 설치하겠다고 밝혀 노조의 반발을 사고 있습니다. 노조 측은 현장 인근에 레미콘 공장이 충분함에도 불구하고 자체 공장을 짓는 의도를 알 수 없다며 운송 거부를 선언했습니다. 반면 현대산업개발은 해당 지역의 극심한 교통 체증으로 안정적인 레미콘 수급이 어렵다고 주장하며 맞서고 있습니다.
이러한 갈등의 원인 중 하나는 '배치 플랜트' 설치 규정이 모호하다는 점입니다. 국토부 지침에 따르면, 90분 이내 운반이 불가능한 지역이나 교통 혼잡 지역 등 특별한 경우에만 설치가 가능하지만, 이 기준이 현장 상황에 따라 달리 해석될 수 있어 분쟁의 불씨가 되고 있습니다.
더 큰 문제는 미래의 레미콘 공급 부족 가능성입니다. 서울 외곽으로 레미콘 공장들이 이전하면서 수도권 내 공급 공백 지대가 확대되고 있으며, 2026년 이후 서울시의 재건축 사업이 본격화되면 레미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현재 서울에 남은 소수의 레미콘 공장 생산량만으로는 이 수요를 감당하기 어려워 공급 부족 사태가 현실화될 수 있으며, 이는 곧 공사 지연 및 분양가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NRB's INSIGHT
건설 현장 리스크를 줄이는 '모듈러 공법'의 가치에 엔알비의 배치플랜트를 더하다.
최근 불거진 레미콘 공급 불안정성 문제는 전통적인 현장 중심의 건설 방식이 지닌 근본적인 한계를 보여줍니다. 레미콘 운송과 같은 외부 공급망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면, 예기치 않은 운송 차질이나 노사 갈등이 곧바로 공사 지연과 비용 상승으로 이어지는 리스크에 노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엔알비 군산 본사(공장)에는 자체 배치 플랜트가 내재화되어 있습니다. 이는 공장 내에서 필요한 레미콘을 자체 생산 및 공급할 수 있어, 외부에 의한 레미콘 운송 대란이나 공급 부족으로부터 완전히 자유롭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엔알비 군산 공장 내 콘크리트 배치플랜트]
당사는 국내에서 유일하게 철골 모듈러와 콘크리트(PC: Precast Concrete) 모듈러를 모두 생산하며, 대부분의 공정을 공장 내에서 선제적으로 완료하여 제품화된 건축물을 제작합니다. 레미콘 공급망을 내재화한 덕분에 현장 시공 의존도를 더욱 획기적으로 낮추고, 균일한 품질의 모듈을 안정적으로 생산하여 공사 기간을 단축하고 건설 비용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습니다. 당사의 모듈러 인프라는, 건설 현장의 다양한 리스크를 줄이고 안정적인 주택 공급을 가능하게 하는 지속 가능한 솔루션입니다.
참고: 유튜브 언더스탠딩 '레미콘의 복수 재건축 큰일났습니다'